Embedded/ST Series

[STM32] STM32H7B3I-DK를 사용하여 LVGL 예제 프로젝트 설정하기.

별빛의온기 2023. 10. 18. 09:27
반응형
LVGL이란? 

 

LVGL은 무료 오픈 소스 그래픽 라이브러리로써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사용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그래픽 라이브러리중 하나입니다. 

 

LVGL 공식 사이트에서 LVGL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https://lvgl.io/

 

LVGL - Light and Versatile Embedded Graphics Library

LVGL is the most popular free and open source embedded graphics library targeting any MCU, MPU and display type to build beautiful UIs. It's boosted by a professional yet affordable drag and drop UI editor, called SquareLine Studio. We also do services lik

lvgl.io

 

 

LVGL 예제 프로젝트 가져오기 및 설정하기.

 

처음 LVGL을 사용하면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올 수 있습니다. 이때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도구가 있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요,

우선 위 링크의 페이지를 보다보면 LVGL 인증보드라는 목록이 보입니다.

 

 

STM32에서는 STM32H7B3I-DK라는 보드가 보이네요. LVGL에서 인증된 보드로써 아마 저 보드들을 이용하면 보다 쉽게 LVGL에 접근 할 수 있을것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STM32H7B3I-DK 보드 이미지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나오면서 해당 보드의 스팩과 설명이 나열됩니다. 

오른쪽 하단의 [Read more]를 클릭합니다.

 

 

lvgl 블로그로 이동하면서 LVGL을 포팅했을때의 성능이나 메모리등에 대한 리뷰글이 나옵니다. 

아래로 스크롤을 하면 Development 가 있는데, STM32CubeIDE를 사용했고 사용한 Project를 GitHub에 올렸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중간에 있는 Github 링크를 클릭합니다.

 

 

프로젝트가 있음을 확인 했다면 "How to import this project to STM32CUBEIDE" 를 참고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가져옵니다.

 

위와 같이 가져왔다면 .project를 더블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이 상태로 Bulid를 해보면 Error가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lvgl 소스파일들이 해당 프로젝트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lvgl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받아 해당 프로젝트에 포팅을 진행하도록 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lvgl github로 이동합니다. (LVGL 공식 홈페이지에 해당 링크가 존재하지만, 본문에서는 링크로 대체하겠습니다.)

https://github.com/lvgl/lvgl

 

GitHub - lvgl/lvgl: Embedded graphics library to create beautiful UIs for any MCU, MPU and display type. It's boosted by a profe

Embedded graphics library to create beautiful UIs for any MCU, MPU and display type. It's boosted by a professional yet affordable drag and drop UI editor, called SquareLine Studio. - GitHub - ...

github.com

 

github에 접속하였으면 브랜치가 master로 되어 있습니다. 현재 master는 9.0.0인데, 이 버전은 안정화버전이 아니므로 사용하기에는 아직 껄끄러운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브랜치를 "release/v8.3"로 변경합니다.

 

 

변경하였으면 해당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해제합니다. 그리고 압축해제로 나온 모든파일들을 이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의 lvgl 폴더에 복사합니다.

 

 

복사가 끝났으면 프로젝트를 다시 빌드합니다. 

 

 

에러 없이 빌드가 되었음이 확인됩니다. 이후 STM32H7B3I-DK보드에 다운로드 하면 위젯 데모 화면이 뜹니다.

 

 

이제 이 상태로 lvgl 학습을 진행하면 됩니다. 이것저것 수정하면서 lvgl을 다뤄보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Embedded > ST Ser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M32을 개발하려면 필요한 Reference 자료..  (0) 2016.11.22